Blame view

README.md 3.81 KB
a5dfe3da3   오재경   프로젝트 개요 파일 추가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79
80
81
82
83
84
85
86
87
88
89
90
91
92
93
94
95
96
97
98
99
100
101
102
103
104
105
106
107
108
109
110
111
112
113
114
115
116
117
118
119
120
  ## [컴파일러 설치] -- 내용무시
  ---------------------------
  * toolchain 디렉토리의 arm-buildroot-linux-gnueabi-4.9.3.tar.gz 파일을 디렉토리에 풀어 사용한다.
  
          $> cd toolchain/
          $> tar zxvf arm-buildroot-linux-gnueabi-4.9.3.tar.gz  .
  
  
  ## [컴파일을 위한 환경파일] -- 내용무시
  ---------------------------
  
  * 환경파일 env-br-4.9.3.env
  
          export CROSS_COMPILE=arm-buildroot-linux-gnueabi-
          export ARCH=arm
  
          export WORK_TOP_PATH=$(pwd)
          export G2C_TOOLCHAIN_PATH=${WORK_TOP_PATH}/toolchain/usr
  
          export PATH=${G2C_TOOLCHAIN_PATH}/bin:$PATH
          export WORK_LD_LIBRARY_PATH=${G2C_TOOLCHAIN_PATH}/lib
  
  
  * source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환경을 설정한다.
  
          $> source env-br-4.9.3.env
  
  ## [부트로더 컴파일] -- 내용무시
  ---------------------------
  
  * 부트로더 디렉토리 bootloader/u-boot\_2015\_01 로 이동한다.
  
          $> cd bootloader/u-boot_2015_01
  
  
  * make-imx6.sh 파일을 실행한다. (처음실행이거나 혹은 재컴파일인 경우도 동일하게 실행한다)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
  
  * 환경을 변경하려면 쉘을 사용하지 않고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
  
          $> make menuconfig
  
  * u-boot 환경파일
  
          mx6sl_apsi_defconfig
  
  
  
  ## [커널 컴파일] -- 내용무시
  ---------------------------
  
  * 커널 디렉토리  kernel/linux-imx6-3.14.52 로 이동한다.
  
          $> cd kernel/linux-imx6-3.14.52
  
  
  * make-imx6.sh 파일을 실행한다. (처음실행이거나 혹은 재컴파일인 경우도 동일하게 실행한다)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
  
  * 컴파일 후 생성된 uImage 파일과 dtb 파일은 자동으로 특정 디렉토리로 복사된다.
  
  
  * 컴파일시 에러가 발생하였다면 mrproper 명령을 적용한다.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  mrproper
          $> ./make-imx6.sh
  
  * dt, module 등을 컴파일 하려고 한다면 해당명령어를 입력한다. (dt는 커널 컴파일시 자동으로 컴파일된다)
  * 컴파일된 module은 "../out_linux_3.14.52" 디렉토리에 복사된다.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  dtb
          $> ./make-imx6.sh  modules
          $> ls ../out_linux_3.14.52
  
  * 커널 환경을 위해 menuconfig 를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. ( make menuconfig 사용하면 안됨 )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  menuconfig
  
  
  ## [RFS, buildroot 컴파일] -- 내용무시
  ---------------------------
  
  * buildroot 디렉토리  buildroot-new 로 이동한다.
  
          $> cd buildroot-new
  
  * 컴파일을 위해서 make-imx6.sh를 수행한다.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
  
  * 환경 수정을 위해 menuconfig 를 사용할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 menuconfig
  
  * 환경 파일을 defconfig 에 저장하려면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 (함부로 저장하면 안되니 주의할것!!)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 savedefconfig
  
  * 환경 파일을 저장하고 싶다면 새로운 환경파일을 만들어 사용며 이때는 menuconfig 명령을 통해 해당 파일 이름을 수정하여 사용한다.
  
  * 환경파일 이름이 apsi_A 로 시작되는 파일은 오재경 이사(혹은 김민수 팀장)가 관리하는 파일이니 절대 저장 혹은 변경하지 않도록 주의한다.
  
  * 컴파일된 후 파일들은 ../output-apsi 디렉토리에 생성된다.
  
  * 램디스크 작업을 위해 make-imx6.sh를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.
  
          $> ./make-imx6.sh image
  
  * ssh key를 (재)생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.
  
  	$> ./make-imx6.sh ssh-key
  
  * menuconfig 를 통해 환경을 수정한 이 후 컴파일시 에러가 발생할 경우 clean 명령을 실행한다.
  
          $> make
          ...some errors...
          $> make clean
          $> make